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지투지바이오 공모주: 균등 비례 배정 청약전략, 상장일 매도전략

by investstock12 2025. 8. 5.
반응형

지투지바이오 공모주: 균등 비례 배정 청약전략

요약
지투지바이오는 약효지속형 DDS(약효지속주사제) 원천기술 기반의 바이오텍으로, 2025년 8월 14일 코스닥 상장 예정입니다.
공모가 58,000원, 수요예측 경쟁률 810:1, 예상 균등배정 0.4주(추첨), 의무보유확약률 15.64%, 상장당일 유통가능물량 35.39%
단기 파이프라인 성공, 기술이전 이슈에 적극적으로 베팅하는 기관 수급이 강점이지만, 상장일과 1개월 뒤 대규모 락업 해제 오버행(최대 74.6%) 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.

1. 기업 소개 및 핵심 경쟁력

(1) 회사 개요 및 연혁

지투지바이오는 2017년 설립된 혁신 바이오 기업으로, 핵심 기술인 미립구 DDS 플랫폼을 바탕으로 당뇨·비만·중추신경계질환·항암·항정신병·통증관리 등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장기지속형 주사제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 창립 이후 국내외에서 관련 원천 특허와 생산공정 특허, 대량생산 역량까지 확보했으며 미국, 유럽, 중국, 일본 등 주요 글로벌 제약시장에 특허 등록 및 파트너십 확장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상업화가 임박한 당뇨·비만치료 파이프라인(GB-5001A, 세마글루타이드 기반)은 글로벌 GLP-1 시장의 수혜주로 부각되며, 국내외 바이오텍 중에서도 규제 및 기술장벽이 높은 DDS(약효지속제) 분야 원천기술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
(2) 주요 사업 및 경쟁력

지투지바이오의 핵심 경쟁력은 '미립구' 기반의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조 원천기술입니다. 미립구는 유효 약물 성분을 초소형 구형(마이크로스피어)에 봉입해, 체내 투여 시 서서히 방출되도록 설계된 DDS(Durg Delivery System, 약효지속 주사기술)입니다. 이를 특화해 기존 주 1회 투여 GLP-1 계열 약물을 월 1회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은, 글로벌 대형 제약사에도 기술이전 및 라이선스아웃(L/O) 협상 카드로 작용합니다. 또한 미국, 유럽, 중국, 일본 등 다수 선진 제약시장에 생산 공정 특허와 조성물 특허 등을 취득해, 국내외 다수 제약사와 기술협력 중임을 강조합니다. 최근 파이프라인 GB-7001(당뇨·비만치료제), GB-1001(조현병 신약) 등도 상업화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

다양한 크기의 균일한 미립구 제조
다양한 크기의 균일한 미립구 제조

(3) 투자 및 성장 히스토리

지투지바이오의 사업 구조는 100% 신주모집을 통한 성장자금 확보(522억 원)와, 상업화임박 파이프라인의 임상·생산시설 확충에 집중되어 있습니다. 최근 연속적인 자본잠식 해소, 대형 글로벌 파트너와 L/O 추진 등 외형 확대에 성공적으로 대응 중이며, 상장 후에는 원천기술의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이 핵심 모멘텀으로 작동할 전망입니다.

2. 재무 현황 및 성장성

(1) 최근 3개년 요약 재무정보

  • 2022~2024년 매출은 미미하나(적자 지속), R&D 투자 및 글로벌 임상비용 대폭 집행
  • 2024년 1분기 기준 순손실 832억 원, 상장 후 연구·임상·공장 신설자금 조달이 핵심

(2) 공모자금 사용 계획

  • 제1,2 GMP공장 증설·신축, 파이프라인 임상개발, 핵심 L/O 계약 대응 준비
  • 대형 의약품 위탁생산(CDMO) 역량 고도화, 기술강소기업 마케팅 강화

3. 공모주 청약 필수정보

(1) 청약·상장 주요 일정

구분 일정
청약일 2025.08.05~06
환불일 2025.08.08
상장일 2025.08.14(목)
주관사 미래에셋증권(청약일 계좌개설 가능)

4. 청약 절차 및 배정 전략(균등·비례)

(1) 청약 기본 정보

  • 최소 청약 단위: 10주(증거금 29만 원 필요)
  • 공모가: 58,000원
  • 청약 주관사: 미래에셋증권
  • 청약 수수료: 2,000원
  • 청약 한도: 일반 등급 1,500만~3,000만원(등급별 차등)

(2) 균등·비례배정 전략 및 예상

  • 0.4주 균등배정(최소 청약 시 추첨, 일부 1주 배정 가능)
  • 비례 경쟁률 예상: 2,000:1~2,500:1, 1주당 1,200~1,300만원 증거금 필요
  • 청약 한도가 적어, 소액 분산 청약자 많음(단독주관)
  • 파킹통장 이득은 2,800원 내외, 이 이상 수익부터 실질이득

(2) 균등·비례배정 전략 및 예상

구분 청약 주수 청약 금액 예상
배정 주수
비고
균등배정 10주 29만 원 0.4주  
비례배정 1,800주 5,220만 원    1주  
비례배정 3,600주 10,440만 원 2주  
비례배정 5,500주 1억5,950만 원 3주  
비례배정 7,500주 2억1,750만 원 4주  
비례배정 9,000주 2억6,100만 원 5주  
비례배정 11,000주 3억1,900만 원 6주  
비례배정 12,500주 3억6,250만 원 7주  

 

*8월 5일  배정 예상치 게시// 
*8월 6일 12시, 15시경 예상치 수정 예정: 

*위와 같이 청약하면, 예상 배정 주수와 같이 배정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
 

  • 소액 투자자: 10주 청약 시 균등 0.4주 배정 예상
  • 배정 결과 확인: 2025.8.8. 청약한 증권사 앱에서 확인 가능(빠르면 8월 7일 오후)

*상장일 매도전략에 관한 별도의 글을 게시할 예정입니다. 하단에 있는  "구독"을 클릭하시면, 적정한 수익을 거둘 수 있는 매도전략 글을 놓치지 않게 됩니다.
 

*지속적 상승으로 수익이  높아 요새 핫한  "두산전자 주가 전망: 전자BG CCL 성장, 실적 모멘텀, 투자 총정리" 글 보러가기

5. 수요예측 결과와 기관 의무보유확약률

  • 수요예측 경쟁률: 810:1(기관 2,446개 참여, 상단 이상 몰림, 시장 인기 확인)
  • 의무보유확약률: 15.64% (10% 초과, 상장 바이오 평균, 단기 오버행 리스크 존재)
  • 공모가: 58,000원(밴드 최상단 확정, 고평가 논란 존재)
  • 상장 당일 유통가능물량: 35.39% (약 189만주, 금액 기준 1,100억원대)
  • 1개월 후 유통가능물량: 74.6%(락업 해제 후, 400만주 이상으로 급증 예정)

6. 상장일 주가 전망 및 매도 전략

(1) 상장일 가격 제한폭

구분 가격 비율
상한가 232,000원 +300%
공모가 58,000원 기준
하한가 34,800원 -40%

상장일 시초가는 34,800원~232,000원 내에서 결정. 높은 공모가, 대규모 유통(35.4%), 단기 매도세와 기관물량 출회 타이밍에 유의가 필요.

(2) 매도 전략

  • 급등 시(80,000~110,000원): 50% 즉시 매도, 30% 120,000원 이상 지정가, 잔여 20% 200,000원대 분할 익절
  • 박스권(58,000~80,000원): 30% 매도, 40% 70,000원 이상 지정가, 30% 추가 상승 모멘텀 관망
  • 하락 시(58,000원 이하): 44,000원 근처 손절가(공모가의 -25%), 악성 오버행 분출시 이탈 필수

상장일, 단기 모멘텀이 집중되겠으나 기관 일부 매도, 오버행 우려가 커 분할 익절, 주가 변동성 제어가 필수. 특히, 1개월 후 대량 락업 해제(전체 74.6%) 폭탄도 필히 참고.

*자세한 상장일 매도전략에 대한 별도 글을 게시할 예정입니다.   "구독" 클릭

7. 투자 포인트 및 리스크

(1) 투자포인트

  • GLP-1 기반 당뇨·비만 치료 파이프라인(GB-5001A) 등 글로벌 제약 트렌드 최대 수혜주
  • 원천 DDS·미립구 기술 기반 장기지속 신약 개발 역량
  • 미국, 유럽, 중국, 일본 등 글로벌 특허와 대량생산 공정
  • 상당한 자금조달 및 시설/R&D 확장, 기술이전 계약 시 기대감 극대화

(2) 유의점 및 리스크

  • 상장일 유통 35.4%+1개월 후 74.6% 폭증, 초대형 오버행(매도압력) 경계
  • 매출 적자, 고평가 논란, 단기 수급이 주가 좌우(기관+FI 대규모 청산 가능성)
  • 기술이전 성사 지연, 글로벌 경쟁 치열, 시장 변동성 확대 시 변동성 우려

 

*지속적 상승으로 수익이  높아 요새 핫한  "두산전자 주가 전망: 전자BG CCL 성장, 실적 모멘텀, 투자 총정리" 글 보러가기


📚 다른 추천 글


👉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또는 구독 부탁드립니다. 더 많은 분석 글은 블로그 메인 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세요.

✍️ 작성자 소개

실전 산업 분석을 전하는 InvestProventus입니다. 경제 데이터와 투자 통찰을 연결하는 콘텐츠를 만듭니다.

문의나 제휴가 필요하신 경우 언제든 아래 이메일로 연락 주세요.

📧 문의 이메일: investproventus@gmail.com

📢 본 콘텐츠는 신뢰도 높은 기업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, 투자 판단은 독자 본인의 책임입니다.

반응형